
전수경 화가
전수경 화가
반 고흐, ‘꽃피는 아몬드 나무’, 캔버스에 유채, 1890
그뿐 아니다. 조광조의 젊고 안타까운 죽음은 전국 곳곳에 수많은 꽃과 나무로 남겨졌다. 그를 따르던 선비들이 경기도 이천 백사면에 숨어 들어가 심은 산수유는 이제 거대한 군락이 돼 이름난 관광지가 됐다. 그를 그리워하던 나주 출신 성균관 유생 11명이 낙향하여 심은 동백나무도 천연기념물이 됐다. 추운 겨울 붉은 꽃이 피었다가 통째로 떨어지는 것이 그의 꼿꼿한 절개와 닮아 동백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반 고흐 또한 조광조와 같은 나이에 죽었다. 고흐는 그의 생애 마지막 봄에 몇 점의 아몬드 꽃을 그렸다. 이들 중 한 점은 그의 조카가 태어난 소식을 듣고 그 아기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서 그렸다. 조카의 이름을 ‘빈센트’라고 고흐의 이름을 붙였다는 동생 테오의 말에 고흐는 감격했다. 그는 아직 정신병원을 퇴원하지 못했기에 대신 그 그림을 보내어 아기의 침실 벽에 걸리기를 원했다.
고흐는 자신이 살아 있음을 확인하고 순리에 따르는 맑은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을 그렸다. 한쪽에 마음의 병과 싸우면서 동생의 지원을 받으며 나아가는 중이었다. 조광조가 유학의 이념으로 제 삶을 지탱하고 사회를 개혁하려 한 반면, 고흐는 삶의 몸짓이 그대로 기록되는 회화를 통해 마음의 고통을 온전히 견디며 남프랑스의 자연이 품은 생명력에 반응했다. 유럽에서 아몬드 꽃은 극동의 매화처럼 제일 먼저 봄을 알리는 꽃이다. 겨우내 냉기를 뚫고 움트는 아몬드의 하얀 꽃은 곧이어 원색으로 다투어 빛날 아를(Arles) 지역의 대지와 하늘을 예고한다.
조광조와 반 고흐는 마치 벚꽃이 일순간에 피었다 지는 것처럼 외부의 도전을 견디며 짧은 삶을 찬란하게 불태운 사람들이다. 나는 삐죽삐죽 올라와 조광조의 묘역을 둘러싸는 아파트촌을 바라보며 내게서 사라진 중요한 것들을 아쉬워했지만 그들의 부재(不在)를 통해 나에게 남은 것들의 귀중함을 보게 되었다. 용인이 벚꽃의 도시라는 것을 이제야 알았다. 내년 성묫길에 용인의 이곳저곳에 팡팡팡 피어나는 벚꽃 잔치에 참여하고 즐겨야지
드루킹 같은 가짜 넘치는 시대, 자기 삶을 돌아보라 (0) | 2018.04.29 |
---|---|
법륜~갈등은 왜 생길까요. 남을 고치려 들지 마세요. (0) | 2018.04.25 |
법륜~될까 안 될까 (0) | 2018.04.16 |
[여적]폴 라이언의 은퇴 (0) | 2018.04.15 |
마음챙김 명상 ? (0) | 2018.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