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이중섭의 그림을
올려 봅니다.
이중섭 작품세계의 가장 큰 특징은 표현재료의 다양한 실험에 있다. 합판에 유채, 종
이에 연필과 수채, 종이에 잉크 등 표현재료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시도와 표현 공
간 역시 책표지, 시험지 조각, 장판지, 엽서, 은박지 등 그릴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표현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 중에서 담배 속지에 그린 은지화는 그의 독창적이고 실
험적인 노력의 산물로 그의 다양한 표현세계를 대표하는 그림이다.
이중섭은 은지에 날카로운 쇠꼬챙이를 이용해서 그림을 그렸다. 이때는 종이가 뚫어지
지 않을 만큼 윤곽선을 그린다. 은지화는 대부분 가족이나 모여있는 어린이들을 주제
로 한 작품들이 많았는데, 이 그림에서 이중섭의 표현기법을 살펴보면, 일단 전체적으
로 3차원 공간을 무시하고 평면적인 공간이라는 점이다.
인물표현에 있어서 이중섭은 생략과 과장 등을 통해 독창적인 인물상을 그려냈다. 그
의 그림 속에 나오는 인물들의 몸동작들은 대단히 단순화되어 있고, 정상적인 인체비
례가 무시된 것 같지만, 사실은 아주 정확한 비례감을 갖고 있다는 점과 선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중섭은 선묘에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었다. 그의 선묘는 대체적으로 자유분방
하고 강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중섭의 작품에서 선묘는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윤
곽선이 아니라 선 자체가 구성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서 독특한 생명감을 지니고 있다.
이중섭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그리기보다는 선 자체에서 드러나는 독특한 표현미를 통
해 자신의 감정을 마음껏 발산하였던 것이다. 이중섭 작품에서 느껴지는 끊임없는 율
동감과 생동감은 이 선묘의 구사에서 얻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섭 작품세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전통미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특히 은지화는 고
려청자의 상감기법과 제작기법, 장식적인 효과면에서 유사한데, 고려청자의 상감기법
이란, 빚은 도자기의 표현에 문양을 새기고, 그 부분에 다른 빛깔을 나타내는 이물질
을 채워 넣어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세계 도자 사상 독보적인 장식기법이다.
또한 엽서 그림에서는 수묵화의 <번지기 기법>을 통해 제작된 작품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그의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강인한 선묘는 고구려 벽화와 비슷한 분
위기를 자아내는 등 화가 이중섭이 전통미를 재현하기 위해 애썼다는 것을 엿볼 수 있
다.